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6일차 : 한 번에 끝내는 디지털 마케팅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

by 마케터87 2025. 7. 26.
반응형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강의 시작 전, 시작 후 인증

패스트 캠퍼스 환급 챌린지 26일 차 인증입니다

강의장 목차

이번 강의는 지난번 미디어 성과 지표 digital 부분에 이어 TV 부분입니다.

TV 매체는 디지털 매체와는 차별화된 고유의 측정 체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청률을 기반으로 한 측정 방식과 방송 환경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전문 지표들이 활용되며,

이는 TV 광고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학습 인증샷

 

  지표 정의 계산공식 표기 활용
시청률 GRP 시청률의 합 시청률 5% 프로그램에 10회 노출 = 50 GRP N 캠페인 규모와 노출 강도 측정
Insertion 노출 횟수   N 계약된 횟수 대비 실제 집행 횟수 확인
도달률 Reach1+ 1회 이상 도달률   N% 실제 광고 도달 규모의 정확한 측정
비용 효율성 CPRP(CPP; Cost Per Rationg Point) 1GRP당 단가 Spent / GRP W TV 매체의 비용 효율성 평가 핵심 지표
시간대별, 채널별, 프로그램별 비교
Spent 광고 집행 비용(Net, Gross)   W 계획 대비 실제 집행 비용 모니터링
TV 매체 특화 SOV(Share of Voice) 전체 채널 안에서의 노출 비중 자사 광고 GRP / 전체 광고 GRP * 100 % 경쟁사 대비 광고 점유율과 시장 지배력
PIB PIB)Program in Break) 전후탑 3번째까지, 중간 광고 포함한 노출 스팟 PIB GRP / Total GRP * 100 % 프로그램 시청 맥락에서의 광고 노출 품질

 

주요 측정지표 활용법

GRP

대규모 : 1000+(전국민 대상)
중규모 : 300~1000(타겟 집중)
소규모 : 100~300(지역별 또는 테스트)

 

Reach1+

브랜드 인지도 캠페인 : 높은 Reach1+ 목표 70%+
타겟 집중 캠페인 : 중간 수준 Reach1+40~60%
리마인드 캠페인 : 낮은 Reach1+, 높은 Frequency

 

CPRP

프라임타임 vs 비프라임타임 : 비용 대비 효과 분석

지상파 vs 케이블 : 타겟 매칭도와 비용 효율성 비교

스폰서십 vs 스팟광고 : 브랜딩 효과와 비용 고려

패키지 구매 : 볼륨 디스카운트 활용

 

SOV

시장 지위 파악 : 업계 내 광고 투자 순위

경쟁 강도 측정 : 특정 시기 경쟁사 활동 수준

기회 포착 : SOV가 낮은 시간대나 채널 발굴

방어 전략 : 경쟁사 공격적 광고에 대한 대응

 

PIB

프로그램 연관성 : 콘텐츠와 광고의 자연스러운 연결

시청 몰입도 : 프로그램 시청 중 광고 노출의 효과성

브랜드 세이프티 : 적절한 프로그램 환경에서의 노출

프리미엄 효과 : 인기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향상

 

시간대별 성과 분석

프라임타임 (19:00-23:00)

특징 : 최고 시청률과 높은 광고 단가

타겟 : 전 연령대, 가족 단위 시청

KPI : 시청률(GRP), 누적 도달률(Reach1+), 브랜드 인지도

전략 : 대규모 브랜드 캠페인 및 신제품 출시

 

데이타임 (06:00-18:00)

특징 : 중간 수준의 시청률과 광고 단가

타겟 : 주부 및 시니어층

KPI : 광고 효율성(CPRP), 점유율(SOV), 목표 타겟 도달률

전략 : 생활용품, 건강식품 등 특정 타겟 맞춤 상품 마케팅

 

레이트나이트 (23:00-02:00)

특징 : 낮은 시청률과 광고 단가

타겟 : 젊은 층, 직장인

KPI : 비용 효율성, 타겟 정확성

전략 : 예산 대비 효율적 캠페인, 틈새시장 공략

 

채널별 성과 비교

지상파 (KBS, MBC, SBS)

장점 : 광범위한 도달률, 높은 브랜드 신뢰도

단점 : 높은 광고 비용, 치열한 경쟁

적합 상품 : 대중적 브랜드, 프리미엄 제품

측정 포인트 : 시청률 대비 도달률 효율성

 

종편 (JTBC, MBN, TV조선, 채널A)

장점 : 특정 연령층 집중,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단점 : 제한적인 도달 범위

적합 상품 : 중장년층 타겟 상품, B2B 서비스

측정 포인트 : 타겟 정확성, 광고 효율성

 

케이블/위성

장점 : 정교한 타겟팅, 전문성 높은 콘텐츠

단점 : 개별 채널 시청률 저조

적합 상품 : 틈새 시장 제품, 전문 서비스

측정 포인트 : 점유율(SOV), 타겟 매칭 정확도

 

프로그램 선택 최적화

프로그램 유형별 전략

뉴스 : 정보의 신뢰성과 시사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브랜드

드라마 : 감성에 호소하는 스토리텔링 중심의 브랜드

예능 : 친근하고 활기찬 이미지로 젊은층을 공략하는 브랜드

스포츠 : 남성 시청자를 겨냥한 역동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브랜드

 

시청률 vs 타겟 매칭

높은 시청률 프로그램의 비용 대비 마케팅 효율성

타겟 집중도가 높은 낮은 시청률 프로그램의 전략적 가치

프로그램 시청자 특성과 브랜드 타겟 간의 정확한 일치도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간 부합성

 

보고와 커뮤니케이션

TV 매체 전용 대시보드

실시간 모니터링

- 일별 GRP 누적 현황 및 목표 대비 진행 상황 추적

- CPRP의 변화 트렌드와 시장 평균과의 비교 분석

- SOV의 실시간 현황 파악

 

주간/월간 분석

- Reach1+ 및 Frequency 심층 분석

- PIB 비율과 프로그램 환경에 대한 종합적 평가

- 경쟁사 SOV 비교 및 시장 동향 파악

 

이해관계자별 맞춤 보고

경영진 보고

- 핵심 KPI (GRP, Reach1+, SOV) 중심의 전략적 인사이트

- 브랜드 인지도 변화와 비즈니스 영향력 분석

- 경쟁사 대비 시장 포지셔닝 변화 추적

 

마케팅팀 보고

- 프로그램 및 시간대별 세부 성과 분석

- CPRP 효율성 평가 및 최적화 방안 도출

- 크리에이티브별 성과 차이 심층 분석

 

학습통계

 

TV 매체의 측정지표는 디지털 매체와는 확연히 다른 고유한 특성과 전문성을 요구합니다.

GRP, CPRP, SOV, PIB 같은 핵심 지표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TV 광고의 본질적 가치를 측정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TV 매체는 브랜드 인지도 구축과 대중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차별화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순한 즉각적 반응 지표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효과를 균형 있게 평가하는 통합적 접근 방식이 요구됩니다.

디지털 시대에서도 TV 매체는 여전히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써의 가치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다른 매체와의 시너지를 통해 더욱 큰 마케팅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TV 매체만의 독특한 측정 체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전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필수적입니다.

 

https://fastcampus.info/4n8ztzq

 

(~6/20) 50일의 기적 AI 환급반💫 | 패스트캠퍼스

초간단 미션! 하루 20분 공부하고 수강료 전액 환급에 AI 스킬 장착까지!

fastcampus.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