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은 석회암이라고 불리는 뒤꿈치 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으로 5개나 가지를 내어 발가락 밑동에 붙어 있는 두껍고 강한 섬유질의 띠를 말합니다. 발의 아치를 유지해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운반하면서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보행 시 발의 역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족저근막이 반복적으로 손상되면서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을 일으켜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성인의 발뒤꿈치 통증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아 흔히 평발이라고 불리는 평발이 있거나, 아니면 캐비넷 변형이 있으면 정상보다 높은 아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족저근막염은 다리 길이의 차이, 과도한 경골 내 변형(뒤꿈치의 외측 회전과 발목의 내측 회전이 합쳐진 것), 하퇴부 근육의 구성이나 약화가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의 발뒤꿈치 뼈 부착 부위에서 뼛조각이 돌출된 사람들 중 일부에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것보다 족저근막의 과도한 사용에 의한 것이 훨씬 더 빈번합니다. 즉,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장거리 마라톤이나 조깅을 하거나, 바닥이 딱딱한 곳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배구, 에어로빅 등)을 하는 경우, 바닥이 딱딱한 곳에서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당뇨나 관절염 환자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신체검사를 통해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진단 방법입니다. 발뒤꿈치 뼈의 안쪽 종방향 단면에서 뚜렷한 압통점을 발견하여 진단이 가능하며, 발바닥이 족저근막 방향을 따라 전반적인 통증을 보이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끝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거나 환자가 발뒤꿈치로 서 있도록 하여 통증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신체검사 이외에 추가적인 검사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다만, 족저근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이 아니거나 적절한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을 위해 필요에 따라 방사선 촬영(X-ray, CT, MRI), 근전도 촬영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증상
대표적인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 첫발을 내딛을 때 느끼는 심한 통증이지만, 모두 같은 증상을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발뒤꿈치 안쪽에 통증이 주로 발생하며, 발뒤꿈치 뼈의 내측 종방향 뼈 결절을 누를 때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지만,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 움직이면 통증이 다시 감소합니다. 진행성 족저근막염의 경우 서 있을 때 뻣뻣한 느낌이 지속되며, 하루 일과가 가까워질수록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스스로 증상이 서서히 호전되는 자가 제한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6개월에서 18개월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무작정 나을 때까지 기다리기는 어렵습니다. 특별한 합병증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족저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보행에 영향을 미쳐 무릎, 고관절, 허리 등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치료
1) 원인 제거 및 교정 : 교정 가능한 원인이 있다면, 교정하는 것이 보수적 치료의 첫 단계입니다. 잘못된 운동 방법, 과도한 운동, 불편한 신발 착용 등을 교정하여 원인을 제거합니다.
2) 스트레칭 :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하는 스트레칭 방법으로, 반대쪽 무릎에 발을 올려놓고 아픈 발과 같은 손으로 엄지발가락 부분을 감싸면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의 탱탱한 스트레칭이 느껴집니다. 이때 반대쪽 손가락으로 힘껏 펴는 족저근막을 마사지해 주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와인딩을 천천히 하고 1회 15~20초 정도 유지하며, 스트레칭 운동을 한 번에 15회 정도 합니다(1세트). 하루 10회 이상(10세트)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고, 특히 아침에 자고 일어날 때나 오래 앉아 있다가 걷기 시작하기 전에 스트레칭을 하면 좋습니다.
3) 보조기 : 뒤꿈치 컵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뒤꿈치의 연부조직을 감싸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메커니즘으로 경질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고, 고무 제품은 연부조직을 감싸면서 쿠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중립적인 발목 관절로 부목이나 석고 고정을 유지하거나 발바닥 쪽으로 약간 구부리는 방법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맞춤형 치아 교정 깔창은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카부스 변형이 있고 중족부 통증이 동반된 경우에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NSAID : 부종이 있는 급성기의 경우 효과가 있으나 여러 부작용을 고려할 때 장기간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만성적인 경우 복용하는 소염진통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5)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 다른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사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를 고려합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족저근막이 급성 파열될 위험이 있고 발뒤꿈치 지방 패드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6) 체외충격파 : 확실한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점차 사용이 늘고 있습니다.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