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 증후군은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현대인들에게 많이 생기는 증상입니다.
통증은 물론 저린 느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사용을 줄여야하지만 손목 사용을 줄이기는 너무 어렵습니다.
오늘은 이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인
손목 터널 증후군은 수근관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상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신경 압박 증상입니다. 손목 관절의 정중신경 압박 또는 정중신경 포착에 의해 발생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약 5배 정도 발병이 많고, 발병 시기는 30세에서 60세 사이입니다. 근육관은 손목 앞쪽 피부조직 아래 손목을 구성하는 뼈와 인대가 9개의 힘줄과 1개의 신경이 지나가는 작은 통로입니다. 다양한 원인이나 내압 상승으로 통로가 좁아지면 이를 지나는 정중신경이 손상돼 신경 지배적인 부위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이 발생합니다. 평생 발병 가능성이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손목터널 공간이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을 압박해 저림, 통증, 때로는 마비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손목 부위의 골절, 탈구 등으로 인한 경우도 있습니다. 종양, 임신, 비만, 당뇨, 갑상선 기능이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증상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① 부조화된 원위부 요골골절, 감염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 있는 경우
② 반복적인 가사노동의 경우
③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이 손목에 과도한 무리를 줄 때
④ 손목 부위의 골절이나 탈구로 인해 근관이 좁아져 신경이 눌리는 경우
⑤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등 활막염의 원인이 되는 감염이나 질병의 합병증으로 인한 경우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의 저림과 저림입니다. 엄지손가락이 뻣뻣한 것 같은 통증이 있고, 척골과 어깨에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가 저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든 손가락에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고, 주로 밤에 증상이 더 심합니다. 무감각과 감각 저하를 넘어 엄지 근육의 근력 약화와 위축 가능성까지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자기 손목에 힘이 빠져 병뚜껑을 열거나 키를 돌리기가 어렵다.
- 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손목 관절을 구부리거나 장시간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면 통증과 감각장애가 심해지고 증상이 지속되면서 엄지손가락 근육이 수축된다.
- 손이 저리고 꽉 쥐려고 하면 따가운 통증을 느낄 때가 있다.
- 물건을 세게 잡지 못해 떨어뜨리고, 증상이 심해지면 손의 감각을 느끼지 못한다.
- 바느질처럼 정교한 동작을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여러 질환을 감별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진료를 받을 때는 감각의 이상 위치와 정도를 확인해야 하고, 운동기능의 약화 정도도 확인해야 합니다. 운동기능의 저하는 주로 손바닥에서 엄지까지 두꺼운 부분의 근육 약화나 마비가 원인입니다. 엄지와 작은 손가락이 마주한 상태에서 팔걸이를 눌러 근육 약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이학적 검사: 손목 관절을 일정시간(60초) 구부릴 수 있는 팔렌 검사를 하여 안쪽 신경 분포 부위에 경직과 저림이 나타나면 수근관 증후군으로 간주합니다. 손목 관절 안쪽 신경을 직접 두드리거나 손목 관절 안쪽 신경을 엄지손가락으로 30초 정도 압박했을 때 통증이나 저림이 발생하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손목 관절의 5mm에 가까운 두 지점이 일반적으로 한 지점으로 인식되면 손목터널증후군의 감각장애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② 진단 검사 :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임상소견을 가지고 이루어집니다. 관절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 X-Ray 검사를 시행합니다. 임상소견은 정상이나 근전도 검사에서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전도 검사에서 손목터널증후군의 5-10%는 정상일 수 있습니다.
치료법
1)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거나 근육 위축(손바닥에서 엄지까지 두꺼운 부분)이 없고 그 외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초기에 시도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손목 사용 금지, 손목 부목 고정, 소염제 투약, 근육통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가능합니다. 수면 중 통증이 주 증상이라면 제거가 쉬운 부목을 적용해 손목을 중립 자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깨어 있을 때도 가벼운 통증이 있어 '감염에 의한 굴곡건 활막염' 진단을 받으면 소염제 등의 약물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근육관 내 스테로이드 주사로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증상 완화가 일시적이고 재발률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비교적 심하지만 전기적인 이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 임신과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원인이 해결되는 경우입니다.
2) 수술적 치료
근관을 수술적으로 확장하는 것도 좋은 치료법입니다. 수술적 치료는 종양 등 제거해야 할 확실한 병리가 명백하거나, 전기검사상 심한 신경손상을 보이거나,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3~6개월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비교적 결과가 간단하고, 결과가 좋아 장기 비수술적 치료보다는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피부를 어떻게 절단하느냐에 따라 개방형과 관절경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단 수술적 치료를 하려고 하면 수술 전 반드시 진단하고 마취의 위험성 등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살펴본 후 어떤 수술을 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원인이 명확하다면 근근대 추진 과정에서 원인을 제거하는 수술을 함께 시행해야 합니다.
3) 한의학 치료
증상이 있는 부위에 벌 독을 정제한 봉약침 시술을 시행합니다. 봉약은 mellitin, apamine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항염증 작용, 면역기능 조절, 신경장애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그 외에 침시술한 부위를 불로 가열하는 화침, 일반 침, 뜸, 추나요법 등을 활용하여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